top of page
images_edited_edited.png

고강도·고방열 경량금속소재 부품화 실증 기반구축 사업단

행사 내용

세미나 주요 내용

1.jpg
2.jpg

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.

내용요약

  • 미래차 시대의 알루미늄 주조: 전기차 등 미래차의 등장으로 알루미늄 주조 부품의 수요가 급증

  • 품질 요구 강화: 미래차 부품은 기존 내연기관차 부품보다 훨씬 높은 품질 기준을 요구 
    특히, 기포와 같은 결함에 대한 허용치가 낮아짐

  • 수소 가스 관리의 중요성: 고압 주조에서도 수소 가스 관리가 필수적

  • 용탕 품질 관리: 용탕의 품질은 최종 제품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

  • 진공 주조의 필요성: 진공 주조는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

  • 금형 관리: 금형의 온도, 냉각수 관리 등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

  • 변경점 관리: 주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변화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품질의 개선필요

​​내용요약

  • 전기차 부품 주조 해석의 중요성: 전기차 부품의 고품질화를 위해 주조 해석 기술이 필수적임을 강조

  • 핵심 해석 기술: 고진공, 소착, 열변형, 미세조직 등 전기차 부품 주조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해석하는 기술을 소개

  • 적용 사례: Push Plate와 Battery Pack Case를 예시로 들어,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개선 방안을 제시

  • 해석 과정: 충전 해석, 열변형 해석, 미세조직 해석 등 다양한 해석 과정을 거쳐 최적의 주조 조건을 도출

  • 개선 방안: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게이트 형상 변경, 냉각 채널 추가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, 그 효과를 비교 분석

그림11.png
그림12.png

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.

2. 주조해석을 적용한 전기차 부품 품질개선 사례

주조 해석 기술은 전기차 부품의 품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,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조 조건을 최적화하고,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. 또한, 새로운 제품 개발 시에도 해석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
-윤중묵 상무(애니캐스팅)-

20241118_012537.jpg
b.jpg
그림9.png
그림10.png

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.

3. 전기자동차에 필요한 다이캐스팅기술

I. 전기자동차 Teardown 및 Driving data Benchmark 분석 기술
H. 내연기관 VS 전기자동차의 차이를 무엇으로 이해해야 하는가?
IL. Tesla Giga Press의 기술적 의미와 개발 필요성
IV. 전기자동차에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?

-성시영 CEO(KALABS)-

20241118_003857.jpg
20241115_144805.jpg
4.png

​​저탄소 다이캐스팅 기술 개발 동향

  • 에너지 효율 향상: 용해로, 열처리로 등 생산 설비의 효율 개선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합니다.

  • 재료 수율 향상: 넷 셰이프, 니어 넷 셰이프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스크랩 발생을 줄이고 재료 효율을 높여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합니다.

  • 저탄소 원료 사용: 재활용 알루미늄 등 저탄소 원료 사용을 확대하고,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을 적용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.

  • 신규 공정 개발: 런너 가압 공법, 저탄소 용해 기술 등 새로운 공정 개발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.

  • 해외 기업의 사례: 일본, 유럽 등 해외 다이캐스팅 기업들의 저탄소 기술 개발 사례를 소개하며, 국내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.

  • 결론: 전기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함께 다이캐스팅 산업의 탄소중립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 이를 위해 에너지 효율 향상, 재료 수율 증대, 저탄소 원료 사용, 신규 공정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, 국내외 기업들의 협력과 정부의 지원이 중요합니다.

그림8.png
그림7.png

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.

4. 전기자동차 제조를 위한 저탄소
다이캐스팅 기술 개발 동향

탄소중립의 중요성: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하며,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위한 국내외 노력을 소개,
 

다이캐스팅 산업의 탄소 배출: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, 특히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다이캐스팅의 탄소 발자국을 상세히 제시

-한요섭 자문위원(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)-

변환4150565.jpg

만족도 조사

1. 해당 교육이 본인의 요구 및 기대에 부합하였습니까?

a.png

3. 해당 교육이 앞으로의 업무수행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까?

c.png

2. 해당 교육이 본인의 요구 및 기대에 부합하였습니까?

a.png

4. 해당 교육을 직장동료 또는 주변 지인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으십니까?

d.png

5. 해당 교육에서 특별히 좋았던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?

좋았던점

  •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설명

  • 전기차 관련 정보 제공

  • 적극적인 질의응답

  • 업무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 획득

개선할점

  • 발표 시간 부족

  • 마이크 음향 문제

  • 주제와 연관성 부족
     

만족도 조사 통계 (전체 응답자 수: 26명)

11.png
22.png
33.png
1_edited_edited.jpg

1. AL 주조 공정관리 이해
미래차 시대 – 다이캐스팅 공정 관리

"미래차 시대에는 알루미늄 주조 품질이 더욱 중요
기포와 같은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
체계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."

-서명철 전문위원(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)-

eefdf.png
zxcxc.png

상호 :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| 사업자번호 : 121-82-10209 | 대표자 : 김동욱
(22212)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00 Copyright 2024,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. | all rights reserved.

*본 결과물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.
(RS-202400433985,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)

SSL/TLS 인증 사이트

bottom of page